본문 바로가기
학교수업/기술수업

세포 분열과 관련된 Q&A

by 강릉바다의 블로그 2025. 4. 24.

세포 분열 과정은 매우 정교하고 조율된 생물학적 현상입니다. 각 질문에 대해 하나씩 자세히 설명드릴게요.


(1) 방추사는 세포질 내 어떤 세포 소기관이 발생시키는 것인가요? 아니면 세포 자체에서 일어나는 현상인가요?

➡️ **방추사(Spindle fibers)는 중심체(centrosome, 중심립이라 부르기도 함)**에서 유래합니다.
중심체는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소기관이며, **미세소관(microtubule)**을 조직화하는 기능을 합니다. 이 중심체가 세포 분열기(M기)에 방추사라는 구조를 형성하여 염색체를 끌어당기고 정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
동물세포에는 중심체가 존재하며, 이 중심체에서 방추사가 형성됩니다.
식물세포는 중심체가 없지만, 유사한 방식으로 방추사를 형성합니다 (세포질 내 미세소관 조직 중심체로부터).


(2) 핵막이 사라지면 세포 내에 있던 염색체와 세포질에 있었던 각종 세포 소기관이 섞여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까요?

➡️ 이건 매우 흥미로운 질문입니다! 핵막이 사라지는 건 **유사분열의 전기(prophase)**에서 일어나며, 그 이유는 방추사가 염색체에 직접 접근하기 위해서입니다.

염색체와 세포 소기관이 같은 공간에 있게 되긴 하지만, 실제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세포가 매우 정교하게 조절합니다.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염색체는 분열기 동안 고도로 응축되어 작고 조밀한 구조가 됩니다. 따라서 공간적으로 분산되지 않습니다.
  • 세포 소기관들은 대부분 방추사와 염색체가 주로 활동하는 분열평면 바깥쪽으로 이동하거나 방해되지 않도록 정렬됩니다.
  • 방추사는 특정 단백질 구조(예: 염색분체의 동원체)에만 결합하여 염색체만 정확히 잡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

(3) 핵막이 사라져 염색체와 세포 소기관이 섞였을 경우 방추사가 염색체와 세포 소기관을 모두 당기지 않을까요?

➡️ 아닙니다! 방추사는 '무작위로' 당기지 않습니다.
방추사가 잡는 대상은 **염색체의 동원체(kinetochore)**라는 특수 단백질 부위입니다.

즉:

  • 방추사가 염색체를 당길 수 있는 이유는 염색체에 **특수한 신호(동원체 단백질)**가 있기 때문입니다.
  • 세포 소기관에는 이런 결합 구조가 없기 때문에 방추사가 당기지 않습니다.

이처럼 정확한 결합 대상과 메커니즘이 있어서 혼란 없이 염색체만 정확히 분리할 수 있습니다.


(4) 세포 소기관도 복제되어 2개씩 되어야 세포 분열 후 모세포와 동일한 세포가 만들어질 텐데, 염색체가 복제될 때 세포 소기관도 함께 복제되나요?

➡️ 아주 중요한 부분을 짚으셨어요. 염색체 복제는 **세포주기 중 S기(DNA 합성기)**에 일어나고,
세포 소기관의 복제는 별도의 메커니즘으로 조절됩니다.

  • **미토콘드리아, 엽록체(식물세포)**는 자신의 DNA를 가지고 있어서 자체 복제합니다.
  • 소포체, 골지체, 리보솜, 중심체 등의 소기관은 세포가 분열 준비를 하면서 점차적으로 양이 늘어나거나 둘로 분리됩니다.

결국:

  • 세포는 세포 분열이 일어나기 전에 소기관이 충분히 복제되도록 준비합니다.
  • 분열이 일어날 때는 두 딸세포에 적절히 분배되도록 조절합니다.

 

 


🧬 중학생을 위한 세포 분열 중 세포 전체 변화 요약자료

🌱 세포는 왜 분열할까요?

  • 새로운 세포를 만들기 위해서예요! (성장, 손상된 세포의 대체 등)

🌀 세포 분열 단계별로 일어나는 '전체적인 변화'

단계 변화 내용 요약 염색체 세포 소기관 세포 전체 형태
1. 간기 분열 준비하는 시간 염색사가 복제되어 2개씩 있음 - 미토콘드리아, 리보솜 등 복제됨- 중심체도 2개로 복제됨 크기 커지고 원형 유지
2. 전기 분열 시작! 준비 완료 염색사가 응축되어 염색체로 - 중심체에서 방추사 만들어짐- 핵막이 사라짐 둥근 모양에서 약간 늘어남
3. 중기 염색체 정렬 염색체가 가운데 정렬 방추사가 염색체에 연결됨 타원형
4. 후기 염색체 분리 각 염색체가 양쪽으로 이동 방추사가 염색체 당김 세포가 길게 늘어남
5. 말기 분열 마무리 단계 염색체가 다시 염색사로 풀어짐 - 새로운 핵막 생성- 소기관들도 양쪽에 분배됨 점점 나뉘기 시작
6. 세포질 분열 완전히 둘로 나뉨 핵 안에서 염색사 형태 유지 세포 소기관도 각 세포에 나뉘어 들어감 완전히 2개의 세포로 분리

🎯 포인트 정리

  • 염색체는 핵에서 중심 역할! 하지만,
  • **세포 소기관(미토콘드리아, 리보솜, 소포체 등)**도 분열 전에 미리 복제되고,
  • 세포질 분열 시 골고루 나뉘어서 두 딸세포 모두 생존에 필요한 구조를 갖추게 됩니다.
  • 방추사는 중심체에서 만들어지고, 염색체만 당기도록 설계되어 있어요.

💡 함께 알아두면 좋은 용어

용어 설명

염색사 ↔ 염색체 염색사는 풀어진 상태, 염색체는 뭉친 상태
중심체 방추사를 만드는 세포 소기관
방추사 염색체를 당겨주는 실처럼 생긴 구조
세포질 분열 핵이 나뉜 후 세포질과 소기관이 나뉘는 단계